티스토리 뷰
전 평소 이동할때 지하철보다는 버스를 타고 이동하는 것을 훨씬 좋아합니다.
여러가지 이유중 하나는 지하철의 계단이 싫다는 이유도 있습니다.
몇년 전 무릎이 약해지기 시작하면서 계단을 많이 이용하면 살짝 무리가 오고 힘들더라구요..
거기다 지하철을 갈아타야 할때 계단이 어찌나 많은지.. 그럴때 에스컬레이터가 있으면 정말 반갑지요
전 무릎이 살짝 안좋은데도 계단이 힘든데 몸이 아프시거나 임산부나 아이를 데리고 다니시는 분들은
얼마나 불편하시겠어요... 그중에서는 에스컬레이터로 이동하기도 힘드신 분들이 계실겁니다.
예전에 아이가 있는 제 친구와 함께 지하철을 타고 다니다 보니 아이를 유모차에 태우고 다니는 엄마들
엘리베이터가 없으면 정말 불편하겠다는 걸 알겠더라구요..
엘리베이터가 있으면 유모차에 아이를 태우고도 편하게 이동하는데 엘리베이터가 없는 역에서는
아이를 안고 유모차는 옆에 일행이 들고.. 여간 힘든게 아니였습니다.
얼마 전 서울시에 새로운 소식을 읽다보니 서울 지하철역중에 엘리베이터가 없는 12개 역에
엘리베이터를 추가로 설치한다는 반가운 소식이 있길래 가져왔습니다.
앞으로는 노약자나 아이를 유모차에 태우고 다니는 엄마들의 이동이 좀 더 편리해 졌음 좋겠네요.
오는 29일 3호선 종로3가역에 휠체어 장애인, 노인 등 교통 약자를 위한 엘리베이터가 운행을 시작한다.
서울교통공사는 2020년까지 12개 지하철역에 엘리베이터를 추가 설치하기로 했다.
엘리베이터 추가 설치 역은 1호선 청량리역 / 2호선 신설동역, 용답역 / 3호선 종로3가역, 충무로역, 교대역 /
4호선 명동역 / 5호선 광화문역 / 6호선 상수역 / 7호선 건대입구역 / 8호선 남한산성역, 수진역
종로3가역이 우선 설치된 이유는 이곳은 지난해 노인 승차인원이 545만 명으로 신설 대상역 중 가장 많았다.
하반기에는 7호선 건대입구역에 엘리베이터 설치가 완료된다. 4호선 명동역, 5호선 광화문역, 6호선 상수역 등은
현재 엘리베이터 설치 공사가 진행 중이거나 설계 과정에있다. 지하철 엘리베이터 설치는 설계부터 준공까지
평균 2년 이상 소요된다.
서울교통공사는 엘리베이터 추가 설치로 1역 1동선 확보율을 94%까지 늘린다고 밝혔다. 엘리베이터 1역 1동선
확보율이란 전체 역 중 교통약자가 타인의 도움 없이 엘리베이터만을 이용해 지상과 대합실, 승강장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역의 비율을 말한다.
이번에 엘리베이터가 추가 설치된 종로3가역 사례를 보면, 1호선 역에는 엘리베이터가 있지만 이전까지
3호선역과 5호선역은 휠체어 장애인이 도움없이 이동할 수 없었다. 이유는 엘리베이터 설치 여건이 안됐기 때문이다.
시는 이를 개선해나가고 있다.
현재 서울 지하철 1~8호선 277개 역 중 엘리베이터 1역 1동선이 확보된 역은 249개역으로 90% 수준이다.
28개 역은 엘리베이터를 타고 에스컬레이터로 갈아타거나 계단 등을 이용해야 한다.
서울교통공사는 1역 1동선이 확보되지 않은 28개역 중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수 있는 여건이 갖추어진 12개 역에 대해
3년간 순차적으로 공사를 실시한다. 나머지 16개역은 환기실 저촉, 지상 보도폭 부족 등으로 엘리베이터 설치가
구조적으로 불가능하여 이들 역에 대해서는 환기실 재배치 등 해결 방안을 검토 중이다.
** 문의 : 서울교통공사 토목처 02-6311-9881
** 출처 : 내 손안에 서울
▲29일부터 운행을 시작하는 3호선 종로3가역 엘리베이터 (이미지 출처 : 구글 검색)
'기억하고 싶은 정보 > 꿀팁&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속도로 통행료 무료 조쿠요~ 평창동계올림픽 구경갑시다~~! (0) | 2018.02.03 |
---|---|
슈퍼 블루 블러드문 개기월식 시작~!!! (0) | 2018.01.31 |
평창 무료 셔틀버스 타고 평창으로 고고싱~!! / 26일부터 예약 (0) | 2018.01.26 |
공인인증서 제도가 폐지!! 인증수단이 다양화 된다. (0) | 2018.01.22 |
이렇게 하면된다~! 2018년 차동차세 연납신청(서울시) (0) | 2018.01.21 |